부모교육
[부모교육]아이에게 ㅈㅅ가 아닌 ㅈㅈ를 먼저 해야합니다.
- 작성자
- 또래또 몬테소리
- 작성일
- 2024. 09. 12
'지시가 아닌 지지를 하는 부모가 되어야합니다'
우리 아이 인정하고 공감해주어야 한다는 말에는 공감 하실거에요.
하지만 명확한 한계가 없이 잘못된 부분에도 무한한 인정과 공감은 오히려 아이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어떤 한계와 규칙을 설정 하면 좋은지, 그리고 예시 대화도 함께 정리해 봤으니
참고 하셔서 어릴때는 명확한 한계와 규칙을 설정 하셔서
아이가 그 규칙을 따를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점점 아이가 커갈 수록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 하도록 자율성을 더 부여해주세요.
그게 제대로된 육아의 방향입니다
아이에게 개입할 때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명확한 규칙을 세우고 일관되게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상대방을 해치는 행동"과 "나를 해치는 행동"을 명확히 구분하여 규칙을 명확하게 정해주세요.
다음은 이러한 규칙을 세우고 부모의 개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언입니다:
1.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 설정
간단하고 명확한 규칙: 아이가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한 문장으로 규칙을 설정하세요.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을 때리지 않기"와 같은 규칙을 사용하세요.
일관성 유지: 규칙을 어겼을 때의 결과가 항상 일관되게 적용되도록 하세요.
일관성이 없으면 아이는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시 대화:
부모: "우리 규칙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볼까? 다른 사람을 때리지 않기, 큰 소리로 소리 지르지 않기, 그리고 장난감을 나눠 쓰기."
아이: "네, 알겠어요."
부모: "좋아요. 만약 규칙을 어기면 어떻게 될까요?"
아이: "장난감을 잠시 사용할 수 없게 돼요." 부모: "맞아요. 항상 규칙을 지키도록 하자!"
2. 긍정적 강화
좋은 행동 칭찬하기: 아이가 규칙을 잘 지킬 때마다 칭찬해 주세요.
"다른 사람을 배려해서 정말 좋았어!"와 같은 구체적인 칭찬은 아이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보상 시스템 도입: 규칙을 잘 지키는 아이에게 작은 보상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스티커 차트나 특별한 놀이 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시 대화:
부모: "오늘 어린이집에서 친구와 장난감을 나눠 써서 정말 자랑스러워. 정말 잘했어!"
아이: "고마워요, 엄마!"
부모: "이 스티커 차트에 오늘 한 좋은 일을 기록할게. 열 번 기록되면 특별한 놀이 시간을 가질 수 있어."
3. 차분하고 명확한 개입
감정을 다스리기: 아이가 규칙을 어겼을 때 부모가 화를 내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화나지만 이건 규칙을 어긴 행동이야"와 같이 차분하게 설명하세요.
즉각적인 개입: 문제가 발생했을 때 바로 개입하여 아이에게 왜 그런 행동이 잘못되었는지 설명해 주세요.
예시 대화:
부모: "방금 동생을 때렸어. 그러면 동생이 많이 아파해."
아이: "죄송해요..."
부모: "다른 사람을 때리는 건 규칙을 어기는 거야. 지금은 장난감을 잠시 사용할 수 없어.
하지만 다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4. 역할 모델 되기
모범 보이기: 부모가 규칙을 준수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부모의 행동은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감정 표현 방법 가르치기: 아이에게 건강한 감정 표현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예를 들어, "화를 낼 때는 큰 소리로 외치지 않고 깊게 숨을 쉬자"와 같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예시 대화:
부모: "엄마도 화가 나면 큰 소리로 소리지르고 싶을 때가 있어. 하지만 그렇게 하면 안 된다는 걸 알지?"
아이: "네, 엄마."
부모: "그래서 엄마는 깊게 숨을 쉬고 차분해지려고 노력해. 너도 그렇게 할 수 있겠니?"
아이: "네, 해볼게요."
5. 협력적인 문제 해결
함께 해결책 찾기: 아이와 함께 규칙을 논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가지세요.
"이 규칙을 지키기 어렵다면, 어떻게 하면 더 잘 지킬 수 있을까?"와 같이 대화해 보세요.
협력적인 태도: 아이가 규칙을 어겼을 때 이를 처벌보다는 학습의 기회로 삼으세요.
"왜 이런 행동을 했니?"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의 생각을 듣고 개선 방법을 함께 찾으세요.
예시 대화:
부모: "오늘 친구랑 싸웠다고 들었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줄 수 있니?"
아이: "친구가 내 장난감을 가져갔어요."
부모: "그랬구나. 그래서 네가 화가 난 거구나.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이: "친구에게 말해볼게요."
부모: "좋아, 그렇게 해보자. 혹시 다른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을까?"
아이: "음... 장난감을 나눠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부모: "좋은 생각이야. 다음에는 그렇게 해보자."
6. 예외 상황 설명
예외 인정하기: 모든 상황에서 규칙을 똑같이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왜 예외가 필요한지 이야기해 주세요.
아이의 행동을 지도할 때 이러한 접근 방식을 따르면, 아이가 더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회적 기술을 잘 습득할 수 있습니다.
예시 대화:
부모: "오늘은 조금 특별한 상황이야.
우리가 규칙을 항상 지켜야 하지만, 지금은 병원에 가야 해서 약속했던 놀이 시간을 지킬 수 없게 되었어."
아이: "그래도 놀고 싶어요..."
부모: "그 마음 이해해. 대신 병원 다녀온 후에 조금 더 오래 놀 수 있게 해줄게. 괜찮겠니?"
아이: "네, 알겠어요."
이런 방법으로 아이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규칙을 지키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욱하지 말고 빛나는 엄마가 되세요